Working Papers

한국의 기능별 소득분배: 노동생산성, 임금, 노동소득분배율

  • 발행일 : 2023-01-06
  • 저자 : 김낙년
  • 연번 : WP2023-01
  • 20230106_WP2023-01.pdf(16)
  • 2023.01.05
  • 조회수 : 335
  • (사단)낙성대경제연구소

한국의 기능별 소득분배: 노동생산성, 임금, 노동소득분배율
(
Functional Income Distribution in Korea: Labor Productivity, Wages, and Labor Income Share)


김낙년
(동국대 경제학과 명예교수)

<국문초록>

  이 글은 한국의 노동생산성, 임금, 노동소득분배율을 둘러싸고 전개된 논쟁(박종규 2013; 박정수 2019; 김유선 2019; 주상영전수민 2019; 이강국 2019; 박정수 2020)을 검토한 것이다. 기존연구는 이 논쟁에서 중요한 자영업의 소득에서 준법인을 빠뜨리고 자영업과 관련이 없는 주거서비스 영업잉여를 포함했는데, 이를 바로잡았다. 그리고 종래 취업자 1인당 실질 GDP CPI로 구한 근로자 1인당 실질임금 간의 갭이 2007년 이후 크게 벌어졌다고 주장했지만, 노동생산성과 실질임금을 일관된 기준으로 비교하면 그러한 갭은 사라진다. 1975년까지 소급해 보면 1987(민주화), 1997(외환위기), 2010년을 경계로 실질임금 증가가 노동생산성보다 빨랐던 시기와 그 반대의 시기가 번갈아 나타났다. 전체 시기의 평균 증가율은 균형을 이루고 있었다. 노동소득분배율도 이러한 추이를 반영하여 상승하다가 하락하였으며 근래에는 다시 상승으로 돌아섰다. 이러한 노동소득분배율의 추이는 자본소득의 비중이 높은 최상위 소득집중도의 동향을 잘 설명하지만 보다 넓은 계층을 포함한 소득분배 지표에서는 설명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왔다.   




<영문초록>

This article reviews the debates (Park Jong-kyu 2013; Park Jungsoo 2019; Kim Yu-sun 2019; Joo Sang-young and Jeon Su-min 2019; Lee Kang-guk 2019; Park Jeong-soo 2020) surrounding labor productivity, wages, and labor share in Korea. Self-employment is important in this debate. However, previous studies omitted quasi-corporations from the scope of self-employment income and included operating surplus of housing unrelated to self-employment, but this is corrected here. And while it has been argued that the gap between real GDP per employed person and real wage per worker (divided by consumer price index) has widened significantly since 2007, such gap disappears when labor productivity and real wages are compared on a consistent basis. Looking back to 1975, periods in which real wage growth was faster than labor productivity alternated between 1987(democratization), 1997(financial crisis), and 2010, respectively. The average rate of increase over the entire period was balanced. Reflecting this trend, the labor income share also rose, then fell, and recently turned to rise again. This trend in the labor income share explains well the trend of the top income share with a high share of capital income, but it is found to have poor explanatory power in the income distribution index including the wider class.